밴 리베이트 전면 금지 앞두고 더 극성 |
|||||
---|---|---|---|---|---|
http://news.mtn.co.kr/newscenter/news_viewer.mtn?gidx=2015021018114733351 (동영상) < 앵커멘트 > 올해 하반기부터 카드결제승인 중개대행사인 밴(VAN) 업계에 만연한 리베이트 관행이 처벌받게 됩니다. 그런데, 리베이트 제재 시행을 앞두고 가맹점들의 횡포가 이만 저만이 아니라고 합니다. 그 실상을 이애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그동안 카드 가맹점과의 계약을 성사, 유지하기 위해 '공공연한 비밀'처럼 이뤄져온 밴사들의 리베이트 관행. 여신전문금융업법 개정안이 시행되는 7월부터는 이런 관행이 적발되면 강력한 처벌을 받게 됩니다. 리베이트 지급 사실이 확인되면 가맹점과 밴사 모두 5년 이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물게 됩니다. 또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관할 부처 또한 미래창조과학부에서 금융당국으로 바뀝니다. 금융당국은 올 하반기부터 가맹점에 대한 리베이트 제공 여부를 집중적으로 점검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개정안이 시행을 앞두고 기승을 부리고 있는 가맹점들의 횡포로 밴 대리점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리베이트를 주지 않으면 거래 밴사를 바꾸겠다는 가맹점들의 요구가 빗발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몇 천만원 상당의 현금성 리베이트 뿐 아니라 밴수수료 70원 중 절반 가량을 요구하는 것도 비일비재합니다. [녹취] 밴 대리점 관계자 "어차피 7월부터 돈 안 줄것을 알고, 그것을 선수쳐서 다 뺏어가려고 자칫 시장을 어지럽히고 있는거에요." 밴 대리점들은 부당한 줄 알면서도 계약을 따내고 기존 계약을 지키기 위해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따를 수 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지극히 비정상적인 밴 생태계를 정상화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기에 앞서 비정상적인 관행에 따른 부작용이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이애리입니다. |